영어공부 32

헷갈리는 영어 표현: between / among 차이 완벽 정리!

오늘은 많은 분들이 혼동하기 쉬운 between과 among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둘 다 "~사이에"라는 의미를 갖지만, 사용하는 대상의 수와 뉘앙스에 따라 정확한 구분이 필요해요. 1. between: 두 사람/사물 사이 between은 보통 두 개의 사람 또는 사물 사이에서 선택하거나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다만, 3개 이상일지라도 개별적으로 하나하나를 비교하거나 명확히 구분할 수 있을 때도 between을 씁니다. 예문This is a secret between you and me.(이건 너와 나 사이의 비밀이야.)She had to choose between a job and college.(그녀는 직장과 대학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어요.)There is a fence between the ..

헷갈리는 영어 표현: hope / wish 차이 완벽 정리!

오늘은 영어에서 자주 쓰이면서도 헷갈리는 두 단어,바로 “hope”와 “wish”의 차이를 정리 해 볼게요.두 단어 모두 "바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가능성, 현실성, 그리고 시제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1. hope: 가능성이 있는 미래에 대한 희망hope는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있는 일이나,앞으로 일어나기를 기대하는 일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합니다."될 수도 있을 것 같아!" 하는 긍정적인 뉘앙스예요.hope = (실현 가능성이 있는 일에 대해) 바라다, 희망하다 자주 쓰는 표현I hope you have a great day. (좋은 하루 보내길 바래요.)We hope it doesn’t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안 오길 바래요.)I hope he gets the job..

헷갈리는 영어 표현: do / make 차이 완벽 정리!

오늘은 영어에서 정말 자주 등장하지만,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두 단어,바로 "do"와 "make"의 차이를 확실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둘 다 “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쓰임과 의미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특히 “어떤 행위를 하느냐”, 또는 “무언가를 만들어내느냐”에 따라 적절한 단어가 달라지죠. 1. do: 일반적인 ‘행위’나 ‘의무’를 하다do는 일상적인 행동, 반복되는 일, 의무적·일반적인 일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무언가를 창조하거나 결과물을 만드는 것보다는, 수행에 초점을 둔 동사예요. do = 일을 하다, 수행하다, 실행하다자주 쓰이는 표현들:do homework (숙제를 하다)do the dishes (설거지를 하다)do your best (최선을 다하다)do busin..

헷갈리는 영어 표현: raise / rise 차이 완벽 정리!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꼭 한 번쯤 헷갈리는 표현들이 있죠.그중에서도 오늘은 정말 자주 틀리는 대표적인 두 단어, "raise" 와 "rise"의 차이를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이 두 단어는 모두 ‘오르다’ 또는 ‘올리다’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문장에서의 쓰임새(자동사/타동사)**와 의미의 뉘앙스가 분명하게 다릅니다.예문과 함께 꼼꼼히 살펴보면 더 이상 헷갈리지 않게 되실 거예요! 1. raise: ~을 올리다 (타동사)raise는 "무언가를 위로 올리다", "상태나 수치를 증가시키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중요한 점은, 항상 목적어가 필요하다는 것이에요.즉, "누가 → 무엇을" 올리는 구조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raise = (사람/사물이) ~을 올리다 / 높이다 타동사이기 때문에 항상 목적어가..

헷갈리는 영어 표현: borrow / lend 차이 쉽게 구분하기!

오늘은 영어에서 정말 자주 쓰이지만 헷갈리기 쉬운 표현인 “borrow”와 “lend”의 차이를 정리해보겠습니다.이 두 단어는 모두 ‘빌리다’와 관련 있지만, 누가 누구에게 빌리는지에 따라 전혀 다른 단어가 사용돼요. 1. borrow: 빌리다 (내가 받는 쪽)borrow = (남에게) 빌리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서 무언가를 받아서 쓰는 상황이에요. 예문Can I borrow your pen?(당신의 펜을 빌릴 수 있을까요?)I borrowed a book from the library.(도서관에서 책을 빌렸어요.)borrow는 항상 내가 '받는 쪽'입니다! 2. lend: 빌려주다 (내가 주는 쪽)lend = (남에게) 빌려주다 내가 가진 것을 누군가에게 잠시 주는 동작이에요. 예문I’ll lend y..

헷갈리기 쉬운 영어 표현: bring / take / fetch 차이 정리!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bring / take / fetch의 차이를 쉽고 명확하게 설명드릴게요.이 세 단어는 모두 무언가를 '가져오는' 동작과 관련되어 있지만, 방향과 의도에 따라 쓰임이 달라집니다. 1. Bring: 가지고 오다 (이쪽으로)화자나 청자 쪽으로 ‘가져오는’ 동작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Bring = 가져오다 / 데려오다 예문Please bring your ID to the office.(사무실로 신분증을 가져오세요.)Can you bring me a glass of water?(물 한 잔 가져다줄 수 있나요?)화자 또는 대화 상대가 있는 쪽으로 이동할 때 bring을 사용합니다. 2. Take: 가지고 가다 (저쪽으로)화자나 청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가져가는' 동작입..

"Good"과 "Well"의 차이점 - 둘 다 "잘" 아닌가요?

영어에서 "잘"이라는 뜻으로 good과 well을 흔히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둘은 문장에서의 역할(형용사 vs 부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 Good - 형용사사람, 사물, 상태 등을 묘사할 때 사용무언가가 훌륭하다, 좋다는 의미명사를 꾸며주거나, be동사 뒤에서 주어를 설명함 예문:She is a good teacher. (그녀는 훌륭한 선생님이에요.)This pizza tastes good. (이 피자 맛이 좋아요.)You did a good job! (정말 잘했어요!) 💡 중요 포인트:good은 형용사이기 때문에 명사나 상태(사람/사물)를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2. Well - 부사 (동사를 ..

"In time"과 "On time"의 차이점 - 둘 다 "시간 맞춰" 아닌가요?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시간에 맞춰"라는 뜻으로 in time과 on time을 혼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 둘은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어 상황에 맞게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오늘은 그 차이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 On time - 정시에, 예정된 시간에 맞게정확한 시간에 맞춰 도착하거나 시작함지각하지 않음, 정시일상생활, 일정, 회의, 교통 등에서 자주 사용됨 예문:The train arrived on time. (기차가 정시에 도착했어요.)The meeting started on time. (회의가 정각에 시작되었어요.)She always comes to work on time. (그녀는 항상 정시에 출근해요.) 💡 중요 포인트:"on time"은 정해진 시간에 딱..

"Hear"와 "Listen"의 차이점 - "듣다"에도 차이가 있다고요?

영어에서 "듣다"를 표현할 때 흔히 사용하는 단어가 바로 hear와 listen입니다. 둘 다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의도와 주의 집중도에 따라 쓰임이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차이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1. Hear - (무의식적으로) 들리다감각적으로 들리는 것 의도하지 않아도 귀에 들어오는 소리 수동적인 행위 예문I can hear music from the next room. (옆방에서 음악이 들려요.)Did you hear that noise? (그 소리 들었어요?)I heard someone calling my name. (누군가가 제 이름을 부르는 소리를 들었어요.) 💡 중요 포인트"hear"는 우리가 의식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인식하는 소리를 말합니다.소리가 자연스럽게 귀에..

See, Look, Watch

See, Look, Watch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해? "See, Look, Watch" 전부 "보다"인데 뭐가 다를까요?이번에는 "see, look, watch"라는 표현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세 단어 모두 "보다"라는 뜻이 있지만, 의도, 지속성, 행동의 수동/능동성에 따라 다르게 쓰입니다. 1. See - 보이다, 보다 (우연히 인식함)감각적으로 보이는 것 → "무심코 보는 것"의도 없이 눈에 들어오는 것가장 기본적이고 수동적인 "보다"예문:I can see the mountains from my window. (창문에서 산이 보여요.)Did you see that? (그거 봤어요?)I saw him at the station. (그를 역에서 봤어요.) 💡 중요 포인트see는 의도적으로 쳐다보..

반응형